<p></p><br /><br />다시 백신 뉴스입니다. <br> <br>앞서 보셨듯이 일 때문에, 또 취업문제 때문에 2030 사이에서도 잔여백신에 대한 관심이 큽니다. <br> <br>그러나 잔여백신이 많지 않아 접종이 어렵죠. <br> <br>특히 20대들은 아예 접종 대상에서 제외돼 상대적 박탈감과 불안감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제가 직접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32살 학원 강사 최송현 씨와 오후 1시가 되자마자 잔여백신 예약을 시도해봤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수강신청할 떄처럼 전부 다. 여기도 저기도 다 백신이 0개. <br> <br>잔여 백신이라도 맞겠다고 찾아 나선 건 강사라는 직업 때문입니다. <br> <br>[최송현 /학원강사] <br>먼저 맞았으면 당당하게 마스크를 벗고 수업할 수 있으니까 어머님들께 더 신뢰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은 하고 있어요. <br> <br>올해 28살인 정모 씨도 취업 문제로 잔여 백신에 관심이 많지만, 나이 제한에 걸렸습니다. <br> <br>[정모 씨 / 취업준비생] <br>(작년)9월 달에 권고 사직 됐어요 (인천 공항에서 어떤 직책을...) 면세점. <br> <br>[정모 씨 / 취업준비생] <br>(다시 공항 쪽에서 일을 하고 싶은 것이에요?) <br>웬만하면 그러고 싶죠.일하는 사람들은 (백신) 맞고 있을 것이에요. <br>30대들 (취업을 하고 싶은 사람들은 대부분 20대들일텐데.) 그렇죠. <br> <br>노마스크와 사적 모임 제한 유예 등 정부의 접종 장려책이 나올 때마다, <br> <br>잔여 백신도 맞을 수 없는 20대들이 박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. <br> <br>[김재현 / 대학생] <br>비싼 등록금 내고 학교 다니는데 대면 강의는 거의 못듣고 빨리 백신 맞고 대면 강의도 듣고 하고 싶습니다. <br> <br>[정병호 / 대학생] <br>저희 20대 같은 경우에는 활동량도 많고 사회생활도 해야 하고 저희도 빨리 맞고 해외 여행도 가고 여러 활동을 하고 싶은데 <br>저희 같은 20대들은 누가 책임져야 할지. 저희도 빨리 백신 맞고 싶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어릴수록 면역 부작용이 클 수 있다는 우려에 백신 맞는 것이 불안하다는 청년도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[마성택 / 대학생] <br>솔직히 100만 원 준다 해도 자기 목숨이랑 바꿀 수는 없으니까 차라리 백신을 안 맞고 마스크를 계속 쓰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거든요. <br> <br>백신 불안감 해소와 빠른 집단 면역 달성, 둘 다 빨리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.<br> <br>백신보다 방역이 중요하다고 자꾸 그렇게 이야기 했던 게 아직도 저는 계속 머리에 남아있거든요. 백신을 빨리 구해왔으면 <br>지금 이렇게까지 이럴 일이 없었을 것 같긴 한데... <br> <br>여인선이 간다였습니다.